letterer.js

건강한 몸 · 즐거운 대화 · 행복한 삶

회원로그인

오늘 : 150  어제 : 276  월간 : 150

산우회 산행일지

2024년 | 240224-해맞이동산 시산제(제323차 정기산행)

페이지 정보

김시영 작성일24-03-04 16:11 조회331회 댓글0건

본문

[일 정] 

 

1000   경희궁 집결

1005   출발

1024   월암 근린공원에서 산사와 조우

1039   한양도성길 초입에서 기념촬영

1105   수성동 계곡 청계천 발원지

1120   해맞이 동산 도착

1128   시산제 봉행

1150   시산제 종료

1235   회식장소 도착

1302   산장 인사

1303   산대 및 산총 인사

1440   회식 종료

 

[참가자]

 

공성철, 곽성균, 김시영, 김용수, 김용하, 김일동, 문주일, 박중배, 박흥덕, 서병일, 손훈재, 송경헌, 안종국, 오성학, 우갑상, 우순명, (김민자), 유인식, 윤현로, 이규형, 이동준, 이상설, 이상한, 이종현, 이필중, 임경락, 임춘봉, 임충빈, 장창학, 정병일, 지용붕, 진영산, 홍기창(33)

 

[낙 수]

 

  산신제는 마을 사람들이 그 마을을 수호하는 진산의 산신(백수의 왕인 호랑이로 현신하기도 한다)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지내는 제사로서 토속신앙의 일종인 산악신앙에서 유래한 제례 형식이다. 우리나라의 산악신앙은 단군신앙과 관련이 깊다. 환웅이 태백산(백두산)으로 내려와서 여자로 환생한 웅녀와 혼인하여 둘 사이에서 단군 왕검이 태어났다. 단군은 평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조선을 건국하여 나라를 다스리다가 아사달산으로 입산하여 산신이 되었다. 따라서 산신제는 단군에 대한 신앙과 제례에 그 기원의 하나를 두고 있다.

 

  유교에서는 새로 묘지를 조성하거나 묘제를 지낼 때 먼저 토지신인 후토(后土)에게 고하는 후토제(開土祭라고도 한다)를 지낸다. 이 때는 참파축(斬破祝)이라는 짧은 축문을 읽는다. 다만 유교에서는 토지신만을 위한 산신제는 별도로 행하여지지 않고 묘역이나 묘제 시에 제례의 일부로 후토제를 지낸다. 불교가 우리나라에 토착화하면서 무속적인 산악신앙과 결합하여 특별히 산신청(山神請)이라는 의식으로 산신에게 소원을 빌거나 행사를 고하는 제례가 이어져 왔다. 불경과 산신굿의 사설이 혼합되어 난해하고 긴 축문을 읽으면서(염불) 사이사이에 절을 한다. 목탁, 요령, 징 등의 악구가 동원되어 축문과 함께 연주된다.

 

  시산제(始山祭)는 산악인들이 새해를 맞이하여 한 해 동안 무사 산행을 기원하기 위하여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따라서 시산제는 기본적으로 산신제의 일종이다. 다만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굳이 (토속)신앙과 결부할 것은 아니고, 등산의 취미를 가진 동호인들간에 우애와 단합을 유지하고 건강한 한 해를 보내자는 결의를 새롭게 다짐하는 자리라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갑진년 시산제를 봉행한 224일은 마침 음력 정월 대보름(上元이라고 한다)이다.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것을 기준으로 역수를 세는 태음력에 의하면, 정월 대보름은 새해 들어 처음으로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태양력에서 11일 새해 첫날 아침에 해가 뜨는 것과 동일하다. 설날은 저 세상으로 떠난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낸 다음 생존한 어른들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는 공식적인 날이어서 몸가짐을 삼가면서 하루를 보낸다. 그러나 정월 대보름날은 사실상 새해가 시작되는 날로 간주되어 여러 세시 풍속이 이날 행하여진다. 귀밝이술(耳明酒) 마시기, 부럼 깨물기, 오곡밥 먹기, 지신밟기, 다리밟기, 쥐불놀이, 달집 태우기, 풍물놀이 등의 행사가 그것이다. 일 년간의 운수를 보기 위하여 점을 치는 것도 정월 대보름 전후의 세시 풍속 중 하나이다.

 

  새로운 산우회 집행부가 구성되어 맞이한 첫 시산제에서, 윤현로 산대의 세심한 준비와 인도에 따라 산신청의 형식에 맞추어 시산제를 봉행함으로써 잊어져가는 산악신앙의 풍속을 정월 대보름날을 맞아 재현하는 특이한 경험을 하였다.

 

-중회-

 

.

 

 

댓글목록

Total 397건 1 페이지
산우회 산행일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397 2025년 250208-발왕산(총산 눈꽃산행 겸 제44차 특별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5-05-03 23
396 2025년 250125-서울둘레길 대모산 구간(제333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5-02-11 212
395 2025년 250111-우면산(총산 시산제 겸 특별산행 43) 김시영 2025-01-31 118
394 2025년 250104-북한산 백운대(특별산행 42) 관련링크 김시영 2025-01-07 197
393 2024년 241228-우면산 둘레길(제332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5-01-03 134
392 2024년 241214-용문산 백운봉(특별산행 41) 관련링크 김시영 2024-12-22 231
391 2024년 241208-청계산(총산 송년산행 및 특별산행 40) 관련링크 김시영 2024-12-10 139
390 2024년 241123-은평둘레길 봉산구간 일부(제331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11-25 125
389 2024년 241027-춘천 하중도 생태공원(제330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11-24 151
388 2024년 241109-서북이산(특별산행 39) 관련링크 댓글(1) 김시영 2024-11-10 161
387 2024년 241014-영인산 자연휴양림(특별산행 38) 관련링크 김시영 2024-10-20 157
386 2024년 241005-설악산 흘림골~등선대~오색약수(특별산행 37) 관련링크 김시영 2024-10-18 142
385 2024년 240926-안산자락길(제329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10-10 166
384 2024년 240914-남한산성(특별산행 36) 관련링크 김시영 2024-10-09 104
383 2024년 240824-일자산 둘레길(제328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8-25 185
382 2024년 240510-관악산 서남쪽 둘레길(특별산행 35) 김시영 2024-08-11 144
381 2024년 240727-남산 북측 순환도로(제327차 정기산행 겸 땡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8-05 178
380 2024년 240622-아차산 고구려정 왕복(제326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7-03 231
379 2024년 240525-아람산~기흥호수(제325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5-30 247
378 2024년 240504-관악산 종주(특별산행 34) 관련링크 김시영 2024-05-14 175
377 2024년 240323-서울둘레길 구룡산구간(제324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3-31 271
376 2024년 240302-청계산(특별산행 33, 송경헌 출판기념) 관련링크 댓글(1) 김시영 2024-03-23 242
열람중 2024년 240224-해맞이동산 시산제(제323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3-04 332
374 2024년 240127-대모산 둘레길(제322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4-01-29 344
373 2024년 240114-탕춘대 능선~장미공원(총산시산제 겸 특별산행 33) 관련링크 김시영 2024-01-20 337
372 2024년 240106-남한산성일주(특별산행 32) 관련링크 김시영 2024-01-09 355
371 2023년 231240-서울둘레길 관악산 구간(제321차 정기산행겸 이취임식) 관련링크 김시영 2024-01-01 337
370 2023년 231210-청계산(총산 송년산행 겸 특별산행 31) 관련링크 김시영 2023-12-20 319
369 2023년 231202-양평 형제봉~청계산~부용산(특별산행 30) 관련링크 김시영 2023-12-09 312
368 2023년 231125-청계산 원터골~길마재~옛골(제320차 정기산행) 관련링크 김시영 2023-11-30 372
게시물 검색